맨위로가기

콤바인 (하프라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콤바인은 밸브 코퍼레이션의 게임 《하프라이프》 시리즈에 등장하는 외계 세력이다. 다양한 종과 기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차원을 지배하며 지구를 침략하여 7시간 전쟁으로 지구를 정복했다. 콤바인은 전체주의적 사회를 구축하고, 인간을 억압하며, 다양한 기술과 병기를 활용하여 저항 세력과 대립한다. 콤바인의 디자인은 SF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게임 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콤바인은 게임 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다양한 팬 제작 콘텐츠와 상품으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프라이프의 등장인물 - 에이드리언 셰퍼드
    에이드리언 셰퍼드는 블랙 메사 연구소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투입된 해병대 소속 상병으로, G맨의 방해를 받으며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다가 결국 다른 공간으로 이동된다.
  • 하프라이프의 등장인물 - 보르티곤트
    보르티곤트는 하프라이프 시리즈에 등장하는 지적 외계 종족으로, 콤바인 제국에 의해 모성을 잃고 지구로 망명하여 고든 프리맨을 구원자로 여기며 콤바인에 맞서 싸우고 철학적 인생관과 우주에 대한 진리를 담은 대사로 게임의 깊이를 더하는 존재이다.
  • 가공의 외계 생물 - 만달로리안
    만달로리안은 스타워즈 세계관에서 종족이나 출신에 제한 없이 특정 문화와 신념을 따르는 전사 집단이자 문화적 개념으로, 베스카 강철 갑옷, 제트팩, 독특한 무기 등으로 대표되며 다양한 매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가공의 외계 생물 - 그루트
    그루트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외계 식물 종족 플로라 콜로서스 출신 캐릭터로, "나는 그루트다"라는 문장만 반복하는 의사소통 방식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멤버로서의 활약으로 알려져 있다.
콤바인 (하프라이프)
개요
콤바인
콤바인 "클램프" 심볼, 하프라이프 2, 확장팩, 하프라이프: 알릭스에서 선전에 사용됨
다른 이름우리 후원자 (브린 박사), 우리 악당 (클라이너 박사), CMB (게임 내 이미지/상징)
시리즈하프라이프
첫 등장하프라이프 2
최근 등장하프라이프: 알릭스
창조자마크 레이들로
유형차원 간 외계 연합체
지도자월리스 브린 박사 (꼭두각시 통치자)
인간 반군, 보르티곤트 반군
목적정복
기술
기술차원 간 텔레포테이션
고용
직원트랜스휴먼 군인

2. 디자인 및 특징

콤바인이라는 이름은 그들이 다양한 종족과 기술을 '결합(combine)'하여 형성된 복합적인 존재임을 암시한다. 작중 언급에 따르면 이들은 태양계와 다른 '반대 세계'(Combine Over World)에서 온 것으로 묘사된다. 콤바인을 구성하는 개체들은 외형적, 내형적 특성이 거의 일치하지 않으며, 유기적 요소와 기계적 요소가 융합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콤바인이 다른 종족을 정복하고 그들의 기술과 생체 조직을 흡수하여 자신들의 세력을 확장해왔음을 시사한다. 점령한 행성의 환경과 그곳에 서식하는 종족의 특성에 맞춰 주둔 병력을 개조하고 진화시키는 방식으로 보인다.

엘렌 맥클레인은 ''Half-Life 2''와 그 후속 에피소드[2], 그리고 가상 현실 프리퀄 ''Half-Life: Alyx''에서 콤바인 오버워치 아나운서 및 파견원의 목소리를 연기했다.[3] ''Half-Life: Alyx''의 콤바인 병사 목소리는 리치 소머, 아이작 C. 싱글턴 주니어., 제이슨 반데 브레이크, 마이클 슈왈베, 라지아 바루디, 릭 지에프 등 여러 배우가 참여했다.[4]

2. 1. 디자인

콤바인의 민간경비 경찰 묘사


어드바이저와 같은 콤바인 외형의 특정 요소는 프랭크 허버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1] ''Half-Life 2''와 그 후속 에피소드에서 볼 수 있는 키가 큰 스트라이더는 H. G. 웰스의 소설 ''우주 전쟁''에 등장하는 화성인의 삼각 보행전차를 직접적인 모델로 삼았다. 소설 속 화성인들은 이 삼각 보행전차를 주요 무기로 사용하여 빅토리아 시대 영국을 침략한다. "콤바인"이라는 이름 자체는 켄 키지의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에 대한 오마주이다. 이 소설에는 개인을 기계적으로 조작하고 통제하는 권위적인 집단이 등장한다.[1]

''Half-Life 2''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콤바인 NPC 컨셉이 폐기되었다. 첫 번째 게임의 블랙 옵스 암살자와 유사한 여성 콤바인 암살자가 계획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제외되었고, 대신 아케이드 게임인 ''Half-Life 2: Survivor''에 등장한다.[1] 크리메이터라는 이름의 NPC는 전투 후 거리에 남은 시체를 화염 방사기로 처리하는 콤바인 노동자로 구상되었으나 게임 본편에서는 삭제되었다. 다만, 그의 머리 부분은 엘리 밴스의 블랙 메사 이스트 연구실 책상 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게임의 초인간 병사를 보조할 다양한 외계 콤바인 병사들과 다수의 합성 전투 기계 컨셉이 있었으나 구현되지 않았다.[1] ''Half-Life 2''에 등장하는 콤바인 캐릭터 중 다수는 여러 차례 디자인 변경을 거쳤으며, 특히 콤바인 오버워치 병사는 최종 외형이 확정되기까지 최소 12번의 재설계를 거쳤다.[32]

2. 2. 사회

콤바인은 다양한 차원의 세계를 통제하는 세력으로, 대공명 현상 이후 지구의 동향을 주시하다가 포털 폭풍을 이용해 지구를 침공했다. 이들은 인류와 젠에서 온 외계 종족들을 동시에 식민지화하려 했으며, 7시간 전쟁을 일으켜 단 7시간 만에 지구의 모든 군사력을 무력화시켰다.[5]

전쟁 후 콤바인은 자신들의 의사를 전달하고 통치를 용이하게 할 협력자를 찾던 중, 이미 콤바인에 동조하고 있던 인간 월리스 브린을 발견했다. 콤바인은 브린을 내세워 지구의 항복을 받아내고 그를 지구의 대리 통치자로 임명하여 꼭두각시 통치자로 삼았다. 콤바인은 인간인 브린을 통해 자신들의 식민 지배가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것처럼 포장하려 했다.

지배 체제를 확립한 콤바인은 파괴되지 않고 남은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를 재편했다. 이들은 고향 차원에서 시타델(Citadel)을 소환하여 도시 중심부에 설치하고, 도시 이름을 번호로 매겨 '지구'라고 칭했다. 하프라이프 2의 배경인 17번 지구 외에도 14번 지구가 언급되는 등, 전 세계에 여러 지구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콤바인은 지구 사회를 철저히 통제했다. 모든 언론, 방송 등 미디어 매체를 장악하고 콤바인의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만을 강제로 전파했다. 거리 곳곳에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었고, 가정의 TV에서도 콤바인이 지정한 방송만 시청할 수 있었다. 또한, 시민들의 저항 의지를 꺾기 위해 마시면 기억을 잃게 만드는 음용수를 도시 곳곳에 무료로 배포하기도 했다.

물리적인 감시와 억압도 이루어졌다. 정보를 수집하여 콤바인 기지국에 전송하는 이동 감시 장치인 '스캐너'가 도시를 순찰했으며, "시민은 시민이 지킨다"는 구호 아래 시민 보호 기동대가 창설되어 시민들 간의 상호 감시를 조장하고 무자비한 경찰 폭력을 행사했다. 반항적인 시민들은 세뇌 및 개조를 거쳐 콤바인 솔저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모든 통제 시스템과 병력을 총칭하여 감시인(Overwatch)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콤바인의 종합 정보 처리 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콤바인은 인류 자체를 말살하려는 정책도 시행했다. 성인을 제외한 유아, 청소년, 노인에 대한 학살을 자행했으며, 저명한 지식인들은 격리 수용 시설인 노바 프로스펙트로 보내 정보를 착취했다. 인류의 번식을 막기 위해 시타델에서 특수한 억압 구역(Suppression Field) 에너지를 방출하여 임신에 필요한 단백질 사슬 형성을 방해했다.[8] 콤바인에 저항하는 반시민들은 사살되거나 시타델로 압송되어 노동 노예인 스토커로 개조되었다.

지구 환경 역시 콤바인에게 유리하게 재조성되었다. 지구의 바닷물을 강제로 고갈시키는 등[1] 자원을 착취하고, 자신들의 고향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려 했다. Half-Life에 등장했던 보르티곤트와 같은 외계 종족들도 노예로 전락하여 청소부 등의 잡역에 동원되었다.

17번 지구와 같은 도시는 콤바인의 잔혹한 전체주의 경찰 국가 체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다. 동유럽 풍의 도시에서 시민 보호 기동대는 정기적으로 아파트 단지를 수색하고 시민들을 심문하며 폭력을 행사한다. 군사 조직인 오버워치(Overwatch) 부대는 저항 세력의 기지를 공격하며 콤바인의 권위를 공고히 한다. 시민들은 푸른색 죄수복 같은 유니폼을 입고 지정된 아파트에 거주하며, 콤바인의 통제 하에 열차로 다른 도시나 지역으로 이동해야만 했다.[6]

콤바인 지구 지배의 핵심은 각 '지구'의 중심부에 세워진 거대한 탑, 시타델이다. 17번 지구의 시타델은 하늘 위로 수만 피트, 지하 깊숙이 뻗어 있으며[7], 콤바인 어드바이저와 지구 관리자 월리스 브린의 집무실이 위치한 콤바인의 지구 본부 역할을 한다. 브린은 이곳에서 도시 곳곳의 스크린을 통해 선전 방송을 내보낸다. 시타델은 앞서 언급된 생식 억제 에너지장 외에도, 위험한 외계 생명체들이 도시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막는 방어막을 생성하며[9], 콤바인이 자신들의 고향 우주와 지구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초차원 텔레포터 시설을 갖추고 있다.[10]

2. 3. 묘사

콤바인이라는 이름처럼, 이들이 어떤 생태 체계를 이루고 있는지는 본편 게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작중 언급에 따르면 이들은 태양계와 다른 '반대 세계'(Combine Over World)에서 왔다. 주목할 점은 콤바인을 구성하는 종족 간 외형적, 내형적 특성이 거의 일치하지 않으며, 유기체와 기계가 융합된 형태로 보인다는 것이다. 17번 지구에서 발견되는 유인원-인간-감시인(콤바인 솔저)의 진화 과정을 그린 벽화나 노바 프로스펙트에서 이루어지는 신체 개조, 그리고 신경 다발 네트워크 같은 유기적/기계적 요소로 설계된 요새(Citadel) 내부 구조를 통해, 콤바인이 융합과 개조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다른 종족과 접촉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점령한 행성의 환경과 그곳에 서식하는 종족의 특성에 맞춰 주둔 병력을 개조하고 진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콤바인은 다양한 종족과 기계로 이루어진 복합적인 세력이다. ''하프라이프 2''와 그 후속작들에서 플레이어가 가장 흔하게 마주치는 적은 개조된 인간 병사와 자원한 인간으로 구성된 민간 경비대 요원이다. 이 외에도 장갑차공격 헬리콥터 같은 군사 장비부터, 점령한 도시를 둘러싸고 파괴하는 거대한 '스마트 벽', 그리고 무기로 사용되는 외계 생명체 '신스'(Synth)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투 기계를 운용한다.

2. 3. 1. 조언자 (Advisors)

하프라이프 2에서 이미 등장했지만, 본격적인 등장은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2에서 이루어졌다. 콤바인 대군주(Combine Overlord)라고도 불리며, 각 요새를 통치하는 콤바인의 실질적인 수뇌부이자 지배 계급으로 암시된다.[12][13] 대부분의 명령이 이들에게서 내려오며, 브린 박사는 이들의 꼭두각시 노릇을 했다.

어드바이저는 공상 과학 작가 프랭크 허버트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유충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조언자는 크고 유충과 같은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눈, 귀, 사지 등 겉으로 드러나는 감각 기관이나 이동 기관은 거의 없다.[12] 정보 관리와 지휘만을 주로 담당하면서 다른 기관들은 퇴화한 것으로 보이며, 일부 조언자는 이를 대신할 기계 장치를 신체에 부착했다. 예를 들어 머리 왼쪽에 눈과 같은 기계 장치를 달거나 탈착 가능한 기계 팔을 사용한다.[12] 얼굴은 호흡기로 덮여 있으며, 이를 들어 올리면 길고 유연한 를 내밀 수 있는 입과 같은 구멍이 드러난다. 이 코를 이용해 물체를 조사하거나 다른 생물을 공격하고 살해할 수 있으며, 공격 중에 희생자를 먹는 것으로도 보인다.[12]

일반적으로 조언자는 콤바인 병사들이 지키는 보호 포드 안에서 발견되지만, 비행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염력을 사용하여 공중을 떠다니거나 다른 생물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12] 이를 통해 방해 없이 코로 희생자를 조사하는 모습이 게임 내에서 확인된다. 일부에서는 조언자가 콤바인이라는 종족의 원형일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조언자의 외형은 1984년 영화 에 등장하는 길드 네비게이터에서 영감을 받았다.[14] 한편, 조언자가 코를 이용해 뇌수를 빨아들여 정보를 얻는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영화 스타쉽 트루퍼스에 등장하는 유사한 능력의 생물(Brain Bug)에서 비롯된 추측일 뿐, 게임 본편에는 그러한 능력을 가졌다는 정보가 전혀 없다. 해외의 유명 하프라이프 위키인 콤바인 오버위키에서도 이는 확인되지 않은 추측으로만 언급된다.

2. 3. 2. 시민 보호 기동대 (Civil Protection)

시민 보호 기동대(Civil Protection, CP)는 콤바인이 지구에서 운영하는 주요 법 집행 기관으로, 자발적으로 지원한 인간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시민은 시민이 지킨다"는 구호 아래 창설되었으며, 시민에 대한 감시와 반시민과 같은 저항 세력을 사전에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민 보호 기동대는 감시인(Overwatch)으로 불리는 콤바인의 종합 정보 처리 및 병력 체계의 일부이다.

흔히 "메트로콥"(Metrocop)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가벼운 복장에 PMK 방독면을 개조한 듯한 안면 마스크와 방탄복을 착용하며, 목소리를 변조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주 무장은 전기 충격 봉(게임 내에서는 스턴 스틱이라고 불림)과 권총이며, 경우에 따라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기도 한다.

이들은 매우 잔혹한 방법으로 시민들을 통제하는데, 일상적으로 위협과 폭력을 사용한다. 심문, 검사, 급습, 무작위 구타, 약식 처형, 경찰의 만행 등이 이들의 주요 감시 및 통제 수단이다. 콤바인은 이러한 행위를 "시민의 안전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정당화한다. 17번 지구 외곽에서는 도시를 탈출하려는 시민들을 감시하기 위해 끊임없이 순찰 활동을 벌인다.

시민 보호 기동대원은 감시인(Overwatch) 본부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며 목표와 상황에 대한 업데이트를 받는다. 만약 대원이 사망할 경우, 착용하고 있던 방탄복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감시인 본부에 보고한다.

2. 3. 3. 트랜스휴먼 부대 (Transhuman forces)

트랜스휴먼 부대는 지구상의 주요 콤바인 군대 지상군이다. 이들은 생체공학적으로 개조된 인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꺼운 방탄복과 방독면을 착용한다. 이들은 기관단총, 산탄총, 저격 소총, 그리고 펄스 소총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제복에 새겨진 표시는 전문화의 차이를 나타낸다. 정예 병사는 밝은 흰색 갑옷과 외눈 박이 헬멧을 착용하고 펄스 소총으로 에너지 구체를 발사할 수 있는 반면, 일반 병사는 보병이나 산탄총 사수 역할에 따라 파란색 제복을 착용한다. 산탄총 병사는 다른 트랜스휴먼 병사와 비슷한 복장이지만, 갈색 제복과 주황색 눈(파란색 대신)이 있는 헬멧을 착용한다.

오버워치 병사는 일반적으로 4~6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분대로 활동하며, 보병 전술과 수류탄을 사용하여 플레이어를 몰아내거나 측면을 공격한다. 이들은 때때로 콤바인 신스를 지원하며, 드롭쉽이나 장갑차를 이용해 이동하기도 한다. 트랜스휴먼 병사는 양방향 무전기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거나 본부와 교신한다. 트랜스휴먼 부대는 주로 17번 지구 외부에서 마주치게 되며, 게임 후반부에 도시에 등장한다. 이들은 "지상 부대 주의. 임무 실패 시 영구적인 국외 배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코드 알림: 희생, 응고, 고정."과 같은 명령을 내리는, 게임 내 직접 등장하지 않는 여성 인공지능 목소리인 오버워치(Overwatch)의 지휘를 받는다.[11]

2. 3. 4. 콤바인 기술 (Combine technology)

콤바인은 다양한 SF 기술을 사용한다. 차원 간 이동이 가능한 순간이동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 기술은 일라이 밴스, 아이작 크라이너, 주디스 모스만 등이 개발한 기술보다 제약이 많아 같은 차원 내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16] 게임 내에서는 다양한 미래형 컴퓨터 콘솔, 문, 전력원, 무기 배치 시설 등을 볼 수 있다.

콤바인은 지구 시민을 감시하기 위해 '도시 스캐너'라는 로봇 드론을 사용한다. 이 드론은 개인을 감시하고 사진을 찍는 역할을 한다. 전투용 드론인 '쉴드 스캐너'는 지뢰를 투하하는 데 사용된다.[11] 또한, 민간 치안군은 '맨핵'이라는 소형 드론을 배치하는데, 이 드론은 날카로운 회전 칼날로 베임 부상을 입힐 수 있으며 주로 밀폐된 구역에서 활동한다. 콤바인은 두 종류의 지뢰도 사용한다. '호퍼 지뢰'는 적이 접근하면 공중으로 튀어 올라 폭발하며, 구형 '롤러마인'은 차량이나 적에게 굴러가 부착된 후 전기 충격을 가한다.[11]

콤바인의 기술은 인간을 '오버워치 병사'나 '스토커'로 변형시키는 데도 사용된다. 스토커는 과거의 기억을 잃고 콤바인 시설에서 노예 노동 및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심하게 변형되고 훼손된 인간이다. 스토커로의 변형은 콤바인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내려지는 가장 가혹한 처벌 중 하나로 간주된다.[12][17]

군사적으로 콤바인은 기계로 강화된 생명체인 '합성 생명체'(Synth)와 장갑차, 공격 헬리콥터와 같은 전통적인 기계를 함께 운용한다.[11] 가장 대표적인 합성 기계로는 곤충과 유사한 형태의 건쉽과, 높이가 약 15.24m에 달하며 강력한 캐논과 머리에 장착된 펄스 포탑으로 무장한 세 다리 보행 장갑 생명체인 스트라이더가 있다.[11] ''에피소드 투''에서는 스트라이더의 소형 버전인 헌터가 등장한다. 이 세 다리 공격 기계는 목표물에 폭발성 플레셰트를 발사하며, 실내에서도 기동할 수 있을 만큼 작다. 다른 합성 생명체들도 ''하프라이프 2'' 후반부에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역할은 설명되지 않는다. 경계 포탑 역시 콤바인이 사용한다.[11] 콤바인은 종종 반대파와 난민에 대한 생물 테러 수단으로 헤드크랩을 활용하는데, 헤드크랩이 담긴 포탄을 해당 지역에 발사하여 감염시킨다.[11]

3. 게임 내 등장

하프라이프 시리즈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주요 적대 세력이다.

첫 작품인 하프라이프에서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최종 보스 니힐란스의 언급과 설정을 통해 그 존재가 암시된다. 대공명 현상은 콤바인이 지구에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프라이프 2 이전 시점에는 대공명 현상 이후 발생한 포털 폭풍을 이용해 지구를 침공, 단 7시간 만에 점령하는 7시간 전쟁을 일으켰다. 이후 전 블랙 메사 연구소 관리자 월리스 브린을 내세워 꼭두각시 정권을 수립하고, 시타델 건설, 시민 보호 기동대 운영, 억압 구역 설치 등 전체주의적 방식으로 지구를 통치하며 인류를 억압하고 지구 환경을 자신들에게 맞게 개조하기 시작했다.

하프라이프 2에서는 주인공 고든 프리맨이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전개된다. 콤바인의 다양한 병력(초인간 병사, 스캐너, 스트라이더 등)과 통치 시스템이 상세하게 묘사되며, 저항군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다.

후속작인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원과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투에서는 시타델 파괴 이후 고립된 콤바인 잔존 세력과 슈퍼 포탈을 둘러싼 저항군의 사투가 이어진다. 특히 강력한 존재인 콤바인 어드바이저가 직접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프리퀄인 하프라이프: 알릭스에서는 7시간 전쟁 이후 하프라이프 2 이전 시점의 콤바인 활동과 알릭스 밴스의 초기 저항 활동을 다루며, 콤바인이 G맨을 감금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3. 1. 하프라이프 1

하프라이프 본편에서 콤바인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게임의 최종 보스인 니힐란스가 젠 챕터 이후 고든 프리맨에게 하는 발언들은 콤바인이라는 거대한 배후 세력의 존재를 암시한다. 또한, 설정상 니힐란스의 흉부 중앙에는 개조된 흔적이 있는데, 이를 통해 그가 콤바인에게 완전히 조종당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하프라이프에서 발생한 대공명 현상은 콤바인이 처음으로 지구라는 행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는 이후 하프라이프 2에서 콤바인이 지구를 식민지로 삼게 되는 배경이 된다.

3. 2. 하프라이프 2 이전 사건

대공명 현상 이후 블랙 메사 연구소의 최종 보스인 니힐란스가 사망하자, 젠과 지구 사이의 차원 균열을 제어하던 힘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균열이 불안정해지면서 젠의 외계 생물들이 지구로 쏟아져 나오는 "포탈 폭풍"이 발생했다. 지구의 동향을 주시하던 콤바인은 이 혼란을 이용했다. 그들은 시공간 균열을 조작하여 자신들의 차원에서 지구로 통하는 길을 열었고, 포탈 폭풍을 강제로 활성화시켜 지구 전역에 병력을 상륙시키며 대규모 침공을 감행했다. 이것이 7시간 전쟁의 시작이었다.

지구의 군사력은 미 국방부와 UN을 포함하여 단 7시간 만에 무력화되었다. 전쟁 중 콤바인은 자신들의 의사를 전달하고 협상할 인물로, 이미 콤바인에게 협력적이었던 전 블랙 메사 관리자 월리스 브린을 선택했다. 브린은 콤바인과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을 찾아 지구의 항복을 중재했고, 이후 콤바인에 의해 지구 대리 통치자로 임명되어 꼭두각시 정권을 수립했다. 콤바인이 브린을 인간 통치자로 내세운 것은 인류에게 콤바인의 지배가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였다.[18] 브린은 City 17의 시타델을 그의 작전 기지로 삼았다.

전쟁 후 콤바인은 파괴되지 않은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를 재편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고향에서 거대한 요새인 시타델을 포털을 통해 소환하여 각 도시 중심부에 설치하고, 도시 이름을 번호로 바꾸어 시민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하프라이프 2의 주 배경인 17번 지구 외에도 14번 지구 등 여러 지구가 존재함이 언급된다. 시타델은 하늘과 지하 깊숙이 뻗어 있는 거대한 타워로[7], 콤바인 어드바이저와 월리스 브린 박사의 집무실이 위치한 지구 콤바인의 본부 역할을 했다. 브린은 이곳에서 도시 곳곳의 대형 스크린을 통해 선전 방송을 내보냈다. 시타델은 또한 인류의 생식을 막는 에너지장[8]과 위험한 외계 동물이 도시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방어막을 투사했으며[9], 콤바인 고향 우주와 지구를 잇는 초차원 텔레포터[10]를 보유하고 있었다.

콤바인은 전 지구적인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잔혹한 전체주의 경찰 국가를 만들었다. 언론, 라디오, TV 등 모든 매스 미디어를 장악하여 콤바인의 선전만을 강제로 전파했고, 거리 곳곳에는 대형 스크린을 설치했다. 시민들의 저항 의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마시면 기억을 잃게 되는 음용수를 도시 곳곳에 무료로 배포하기도 했다. 물리적인 통제와 감시도 강화되었다.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감시 로봇 '스캐너'가 거리를 순찰했고, "시민은 시민이 지킨다"는 구호 아래 시민 보호 기동대(Civil Protection, 통칭 '메트로콥')를 창설하여 시민들 간의 상호 감시를 유도했다. 민간 경비대는 수정되지 않은 인간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되었으며, 가벼운 장비와 PMK 방독면과 유사한 안면 마스크, 방탄복을 착용하고 음성 변조기를 사용했다. 이들은 주로 전기 충격 봉(스턴 스틱)과 권총으로 무장했으며, 때로는 기관단총을 사용하기도 했다. 민간 경비대는 동유럽 도시인 City 17 등지에서 정기적으로 아파트 단지를 수색하고, 시민을 심문하며, 무자비한 경찰 폭력을 행사했다.[6] 심문, 검사, 급습, 무작위 구타, 약식 처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시민들을 통제했으며, 이러한 행위는 "시민 보호"라는 명분으로 정당화되었다. 반항적인 시민들은 콤바인 솔저로 강제 개조되었다. 이러한 모든 감시 및 통제 시스템은 '감시인(Overwatch)'이라는 종합 정보 처리 및 병력 지휘 체계 아래 운영되었다. 인간 시민들은 파란색 유니폼을 입고 지정된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며, 콤바인의 뜻에 따라 여객 열차로 이동해야 했다.[6] ''Half-Life''에 등장했던 보르티곤트 역시 노예로 전락하여 청소부 등으로 일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콤바인은 인류 자체를 말살하려는 정책, 즉 인류에 대한 종적(種的) 정리도 시행했다. 성인을 제외한 유아, 청소년, 노인에 대한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으며, 저명한 지식인들은 노바 프로스펙트라는 격리 수용 시설로 이송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감금했다. 인류의 번식을 막기 위해 각 지구의 시타델에서 '억압 구역'(Suppression Field)이라는 특수 에너지장을 방출하여 임신에 필요한 단백질 사슬 형성을 방해했다.[8] 콤바인에 저항하는 이들은 '반시민'으로 규정되어 기동대에 의해 사살되거나 압송된 후, 시타델의 노동 인력인 '스토커'로 개조되는 등 인류 노예화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콤바인은 지구 환경을 자신들에게 맞게 재조성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지구의 바닷물과 자원을 강제로 고갈시키는 작업이 진행되었는데[1], 이는 지구를 자신들의 고향과 유사한 환경으로 만들거나 다른 콤바인 세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콤바인은 지구뿐만 아니라 여러 차원의 세계를 지배하는 다종족 제국임이 암시된다.[5]

콤바인의 실제 지배 계급으로 추정되는 존재는 '어드바이저'이다.[12][13] 이들은 눈, 귀, 사지가 거의 없는 거대한 유충 형태의 외계인으로, 기계 장치로 된 눈과 팔을 부착할 수 있다.[12] 얼굴에는 호흡기가 달려 있으며, 이를 들어 올리면 길고 유연한 (proboscis)와 같은 기관을 내밀어 물체를 검사하거나 생명체를 공격하고 섭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드바이저는 주로 보호 포드 안에 머무르지만, 염력을 사용해 공중을 부양하며 다른 생물을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12] 이들의 외형은 1984년 영화 ''''에 등장하는 길드 네비게이터에서 영감을 받았다.[14]

3. 3. 하프라이프 2

하프라이프 2에서는 7시간 전쟁 이후 지구를 점령한 콤바인의 통치 방식과 고든 프리맨 및 저항 세력과의 본격적인 대립이 그려진다. 하프라이프의 최종 보스 니힐란스의 죽음 이후 발생한 포털 폭풍은 콤바인이 지구를 침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콤바인은 이 혼란을 이용해 지구를 단 7시간 만에 점령하고, 전 블랙 메사 연구소 행정관이었던 월리스 브린을 꼭두각시 통치자로 내세워 인류를 지배한다. 브린은 콤바인의 의도를 따르면서도 자신이 인류를 위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콤바인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도구에 불과했다.

콤바인은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 거대한 요새(Citadel)를 설치하고 도시 이름을 번호로 매겨 관리했다. 작중 배경인 17번 지구 외에도 14번 지구 등이 언급되어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통제 도시가 존재함을 암시한다. 콤바인은 언론, 라디오, TV 등 모든 미디어를 통제하여 자신들의 체제를 선전하고, 시민들에게 기억 상실을 유발하는 음료수를 배포하여 저항 의지를 약화시키려 했다.

물리적인 통제를 위해 "시민은 시민이 지킨다"는 명목 하에 시민 보호 기동대(Civil Protection, CP)를 창설하여 시민들을 감시하고 억압했다. 이들은 가벼운 무장과 PMK 방독면을 개조한 마스크, 방탄복을 착용하고 전기 충격 봉이나 권총, 기관단총 등으로 무장했으며, 심문, 검사, 급습, 무작위 구타, 약식 처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시민들을 통제했다. 이동 감시 드론인 스캐너는 정보를 수집하여 콤바인 감시인(Overwatch) 시스템에 보고했다. 감시인 시스템은 콤바인의 종합 정보 처리 체계이자 군사 조직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이기도 하다.

콤바인은 인류 자체를 관리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성인을 제외한 유아, 청소년, 노인에 대한 학살을 자행하고, 저명한 지식인들을 노바 프로스펙트 같은 시설에 격리 수용했다. 또한, 인류의 번식을 막기 위해 요새에서 방출되는 '억압 구역'(Suppression Field)을 설치하여 임신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을 방해했다. 콤바인에 저항하는 반시민들은 체포되어 스토커라는, 과거 기억이 지워진 노동 노예로 개조되었다.[12][17] 이는 콤바인이 인류를 체계적으로 노예화하려는 시도였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지구의 바닷물을 고갈시키는 등 환경 자체를 콤바인에게 적합하게 바꾸려는 시도도 진행되었다.

콤바인은 단일 종족이 아니라, 다양한 외계 종족과 기계 기술이 융합된 복합적인 세력이다. 이들은 '융합'과 '개조'를 통해 다른 종족을 흡수하고, 점령한 행성의 환경에 맞게 병력을 진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17번 지구의 벽화나 노바 프로스펙트의 개조 시설, 요새 내부의 유기적/기계적 구조물 등에서 이러한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콤바인의 실질적인 지휘부는 콤바인 조언자(Combine Advisor)로 추정되며, 이들은 강력한 정신 능력과 물리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묘사된다. 콤바인 조언자가 뇌수를 빨아들여 정보를 캐낼 수 있다는 설이 있으나, 이는 게임 내에서 확인된 바 없는 추측이다.

콤바인의 주력 군대는 다음과 같다.

  • 시민 보호 기동대 (CP, 메트로캅): 비개조 인간 자원자로 구성된 법 집행 기관. 가벼운 무장과 방독면 착용. 잔혹한 방식으로 시민 통제.
  • 초인간 (Transhuman) 병력: 생체공학적으로 인간 개조된 콤바인 솔저. 두꺼운 방탄복과 방독면 착용. 기관단총, 산탄총, 저격 소총, 펄스 소총 등 다양한 무기 사용. 역할에 따라 제복 색상과 장비가 다름 (일반 병사-파란색, 정예 병사-흰색, 산탄총 사수-갈색). 보병 전술과 수류탄을 사용하며 소규모 그룹으로 활동. 감시인의 지휘를 받음.[11]
  • 기계 및 합성 생명체 (Synth):[11]
  • 스캐너: 도시 감시 및 정찰 로봇 드론 (도시 스캐너, 쉴드 스캐너 - 지뢰 투하 기능).[11]
  • 맨핵: 절단 부상을 입히는 날카로운 회전 칼날을 장착한 소형 드론.[11]
  • 호퍼 지뢰, 롤러마인: 다양한 형태의 지뢰. 호퍼 지뢰는 접근 시 공중 폭발, 롤러마인은 목표물에 부착 후 전기 공격.[11]
  • 건쉽: 곤충과 같은 형태의 비행 전투 기계.
  • 스트라이더: 높이 약 15.24m의 세 다리로 걷는 장갑 생명체. 강력한 캐논과 머리에 장착된 펄스 포탑으로 무장.
  • 헌터: 스트라이더의 소형 버전. 폭발성 플레셰트를 발사하며 실내 기동 가능. (에피소드 2에서 본격 등장)
  • 기타: 경계 포탑, 헤드크랩 포격 (생물 테러에 이용).[11]


콤바인은 차원 간 이동이 가능한 순간이동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일라이 밴스, 아이작 클라이너, 주디스 모스만이 개발한 기술보다 제한적이어서 같은 차원 내 다른 지점으로 순간이동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16] 이 외에도 다양한 미래형 컴퓨터 콘솔, 문, 전력원, 무기 배치 시설 등을 사용한다.[11]

''하프라이프 2''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인 고든 프리맨은 17번 지구에 도착하자마자 콤바인의 추격을 받게 된다. 브린은 하프라이프 사건의 주역인 고든을 큰 위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19] 고든은 저항군과 합류하여 콤바인에 맞서 싸우게 되며, 이 과정에서 블랙 메사 이스트가 습격당하고 일라이 밴스가 노바 프로스펙트로 끌려간다.[18] 고든과 알릭스 밴스는 노바 프로스펙트를 습격하여 일라이를 구출하려 하지만, 그는 이중 스파이 주디스 모스만에 의해 콤바인 요새로 순간이동된다. 이 사건은 17번 지구 시민들의 전면적인 봉기를 촉발시키고, 도시는 격렬한 시가전의 현장이 된다.[20]

후속작인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원''에서는 텔레포터 파괴로 고립된 콤바인 병력이 요새 반응로를 가속시켜 증원을 요청하려 하고, 고든과 알릭스는 이를 저지하며 도시를 탈출한다.[21][22]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투''에서는 파괴된 요새 자리에 형성된 슈퍼 포탈을 통해 증원군을 보내려는 콤바인과 이를 막으려는 저항군의 사투가 벌어진다.[23][24][25] 프리퀄인 ''하프라이프: 알릭스''에서는 ''하프라이프''와 ''하프라이프 2'' 사이 시점의 콤바인 활동과 G맨과의 연관성이 드러난다.[26][27] 관련 시리즈인 ''포탈 (시리즈)''에서도 악의적인 AI GLaDOS가 콤바인의 존재를 암시하는 대사를 한다.[28]

3. 4.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1, 2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원에서 텔레포터의 파괴로 인해 지구의 콤바인 병력은 고립되었고, 시타델의 주요 반응로는 녹기 시작했다.[21] 이로 인해 고든알릭스는 심각하게 손상된 시타델로 다시 들어가, 도시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동안 반응로를 안정시켜야 했다.[21] 그러나 콤바인 병력은 오히려 자신들의 고향 차원에 연락하여 증원을 요청하기 위해 반응로가 녹는 속도를 가속하려고 시도했다.[22] 알릭스가 전송될 메시지의 암호화된 사본을 획득하자, 오버워치 병력은 콤바인 어드바이저의 지시에 따라 도시에서 탈출하려는 두 사람을 필사적으로 막으려 했다.[22] 게임 후반부, 고든과 알릭스가 기차를 타고 탈출할 때 시타델이 폭발하며 시티 17은 파괴되었다.[22]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투는 알릭스와 고든이 파괴된 시타델 자리에 콤바인 차원으로 통하는 슈퍼 포탈이 형성되어 콤바인이 증원을 보낼 수 있게 된 상황을 알게 되면서 시작된다.[23] 그들은 또한 시타델에서 알릭스가 얻은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이 이 포탈을 닫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데이터를 화이트 포레스트의 저항군 본부에 전달하기 위해 이동한다.[23] 이동하는 동안, 콤바인 어드바이저들이 시타델 파괴에서 살아남았으며, 남아있는 콤바인 병력은 보르티곤트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재집결하고 있음이 드러난다.[24] 슈퍼 포탈을 닫으려는 저항군의 계획을 알게 된 콤바인은 화이트 포레스트를 향해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지만, 결국 격퇴당한다.[25]

3. 5. 하프라이프: 알릭스

콤바인은 프리퀄 게임인 ''하프라이프: 알릭스''에서도 주요 적으로 등장한다. 이 게임은 ''하프라이프''와 ''하프라이프 2'' 사이의 사건을 다룬다. 게임의 이야기는 알릭스 밴스와 그녀의 아버지 일라이 밴스, 그리고 동료 저항군 멤버 러셀이 지구에 대한 콤바인의 점령을 약화시킬 무기가 들어 있다고 믿는 거대한 콤바인 금고에 침투하려는 노력을 중심으로 전개된다.[26] 시티 17의 여러 격리 구역을 통과하고 일라이를 구출한 후, 그들은 금고가 무기를 보관하기 위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고든 프리맨을 가두기 위한 감옥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알릭스는 금고에 잠입하지만, 그곳에는 프리맨이 아닌 신비로운 G-Man이 갇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G-Man은 알릭스에게 미래에 일라이가 죽는 장면을 보여주고, 이를 막을 기회를 제안한다. 알릭스가 이를 받아들이자 G-Man은 그녀를 정지 상태에 둔다.[27]

4. 기타 작품

(내용 없음)

4. 1. 콤바인 컴뱃

하프라이프 2의 싱글플레이 MOD로,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고든 프리맨이 아닌 콤바인의 시점에서 진행된다. 아쉽게도 정식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고 데모 버전만 존재한다.

5. 평가 및 팬 제작 콘텐츠

콤바인은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1UP.com은 《하프라이프 2》에서 콤바인이 구축한 "웅장한 느낌"과 시티 17을 가혹하게 지배하는 방식을 칭찬하며, 이는 "신어로 통치되고, 도시 쇠퇴로 장식되어 있으며, 희망이 없는 세상"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33] GameSpot 역시 "디스토피아적인 경찰 국가에 대한 비전은 소름 끼치도록 효과적"이라며 동조했다.[33] PC Zone은 콤바인 병사의 외형을 스톰트루퍼에 비유하며, 게임의 전반적인 인공지능은 "매우 유능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콤바인 NPC가 엄폐를 꺼리고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하는 경향이 있어 "더 나은 생존 본능을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34] GameSpot은 《에피소드 원》에서 콤바인의 AI가 다소 개선되었다고 언급했다.[35]에피소드 투》에 추가된 헌터는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Computer and Video Games는 헌터와의 전투가 도전적이며 시리즈에 "매우 반가운 추가 요소"라고 평가했고,[36] IGN은 헌터가 "인상적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세련되고 강력하면서도 악의적인 외계 지능의 느낌을 풍긴다"고 묘사했다.[37]

학술적인 분석에서도 콤바인은 주목받았다. 《디스토피아 플레이》(Dystopian Play)에서는 콤바인을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당(Party)과 이념에 따라 조직된 전체주의 정권과 직접적으로 비교했다. 해당 저서에서는 브린 박사를 콤바인의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해 유토피아를 거짓으로 내세우는 전형적인 아버지 상으로 분석하며, 그가 콤바인을 "우리의 은인"이라고 칭하는 것은 예브게니 자먀틴의 소설 《우리》에서 단일 국가의 통치자를 묘사하는 용어와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콤바인이 정신 조작과 선전을 통해 유토피아의 이미지를 만들고 인류에게 안전과 "자궁과 같은 보안"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고 분석했다. 콤바인이 새로운 출산을 막고 가족 개념을 파괴하기 위해 사용한 억압 장(suppression field)은 P. D. 제임스의 소설 《인간의 아이들》과 비교되기도 했다.[38] 《비디오 게임과 교육》(Videogames and Education)에서는 콤바인이 아이들을 제거한 후 인류의 보호자이자 양육자 역할을 자처하는 것을 "끔찍한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39] 《대중 문화 속의 외계인》(Aliens in Popular Culture)에서는 콤바인의 유니폼과 건축 양식이 공산주의파시즘을 연상시키며, 이러한 뉘앙스를 《스타쉽 트루퍼스》와 비교했다. 특히, 소설 《스타쉽 트루퍼스》의 브레인 버그는 콤바인 어드바이저의 외형 및 능력과 유사점이 있다고 언급되었다.[40]

콤바인은 다양한 팬 제작 콘텐츠에 영감을 주었다. Garry's Mod와 같은 샌드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콤바인 NPC들이 여러 웹코믹과 마시니마 작품에 등장하게 되었다. 웹코믹 ''Concerned''에서는 콤바인이 매우 관료적이고 종종 무능한 조직으로 그려진다. 한 에피소드에서는 주인공 고든 프로먼을 체포하기 위한 시민 보호 기동대 브리핑 장면이 나오는데, 장교들은 폭발성 드럼통 주변에 모여 있거나, 불안정한 구조물 뒤에 엄폐하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 앞에서 다리에서 로프를 타고 내려오라는 등의 비현실적인 지시를 받는다.[41] 마시니마 시리즈 ''Combine Nation''은 경찰 수사물 다큐멘터리 스타일로 시민 보호 기동대 장교들의 활동을 따라간다. 이 시리즈에서는 팀 의료 담당관이 접착 밴드에 집착하거나, 오버워치 병사인 법률 고문이 종종 자신에게 역효과를 내는 섬광탄을 던지며 극적인 등장을 선호하는 등 코믹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42] 또 다른 웹 시리즈 ''The Combine''은 TV 쇼 ''The Office''를 패러디하여, 콤바인을 일상적인 사무실 문제로 고통받는 은하계 기업으로 묘사한다. 한 에피소드에서는 병사들이 일하는 대신 온라인 비디오를 보기 위해 인터넷 필터를 우회하려는 모습이 그려진다.[43] 다른 매체에서는 콤바인을 더 진지한 톤으로 다루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실사 비디오 ''The Combine Interview''는 톰 크루즈사이언톨로지 관련 인터뷰를 패러디한 작품이다. Joystiq과 Kotaku 모두 "소름끼친다"고 평가한 이 영상은 시민 보호 기동대 장교가 콤바인의 지구 지배에 대해 논하며 크루즈의 발언을 콤바인 테마에 맞게 각색한 내용을 담고 있다.[44][45] PC Gamer UK는 이 영상에 대해 "물론, 이는 사이언톨로지의 목적이나 자아상이 획일화된 은하계 살인 외계인 집단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46]

참조

[1] 서적 Half-Life 2: Raising the Bar Prima Games
[2] 웹사이트 Glados Speaks http://au.ign.com/ar[...] 2015-06-08
[3] 웹사이트 Alyx Vance will be voiced by a new actor in Half-Life: Alyx https://www.pcgamer.[...] 2019-11-21
[4] 웹사이트 Half-Life: Alyx https://www.behindth[...] 2020-10-28
[5] 간행물 Half-Life 2 2004
[6] 간행물 Half-Life 2 2004
[7] 웹사이트 Half-Life 2 Citadel Height http://www.geekosyst[...] 2013-03-27
[8]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One 2006
[9]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One 2006
[10] 간행물 Half-Life 2 2004
[11] 웹사이트 "Half-Life 2'' Enemies" http://planethalflif[...] IGN 2008-09-23
[12] 웹사이트 "Half-Life 2: Episode One'' Enemies" http://planethalflif[...] IGN 2008-09-23
[13] 간행물 Half-Life 2 2004
[14] 문서 Half-Life 2: Raising the Bar
[15] 서적 Aliens in Popular Culture ABC-Clio
[16] 간행물 Half-Life 2 2004
[17]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One 2006
[18] 웹사이트 "Half-Life 2'' Walkthrough—Chapter 5: Black Mesa East" http://planethalflif[...] IGN 2008-05-26
[19] 간행물 Half-Life 2 2004
[20] 웹사이트 "Half-Life 2'' Walkthrough—Chapter 10: Entanglement" http://planethalflif[...] IGN 2008-05-26
[21] 웹사이트 "Half-Life 2: Episode One'' Walkthrough—Chapter 1: Undue Alarm" http://planethalflif[...] IGN 2008-05-26
[22] 웹사이트 "Half-Life 2: Episode One'' Walkthrough—Chapter 5: Exit 17" http://planethalflif[...] IGN 2008-05-26
[23]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Two 2007
[24]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Two 2007
[25] 간행물 Half-Life 2: Episode Two 2007
[26] 웹사이트 "'Half-Life: Alyx' is a VR prequel set before the events of 'Half-Life 2'"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9-11-21
[27] 문서 As depicted in the events of Half-Life 2: Episode 2
[28] 간행물 Portal Valve 2007-10-09
[29] 웹사이트 Hunter Plush Toy http://store.valveso[...] Valve Corporation|Valve 2008-09-19
[30] 웹사이트 Hunter Plushies Now Available http://kotaku.com/35[...] Kotaku 2008-09-19
[31] 웹사이트 "Half-Life 2'' Evolution\" Shirt" http://store.valveso[...] Valve Corporation|Valve 2008-09-19
[32] 웹사이트 "Half-Life 2'' Combine Soldier Lithograph" http://store.valveso[...] Valve Corporation|Valve 2008-09-19
[33] 웹사이트 "Half-Life 2'' Review" http://www.1up.com/d[...] 2008-10-03
[34] 웹사이트 "PC Review: ''Half-Life 2''" http://www.computera[...] Computer and Video Games 2008-05-26
[35] 웹사이트 "Half-Life 2: Episode One'' for PC Review" http://uk.gamespot.c[...] 2008-05-26
[36] 간행물 Review: ''Half-Life 2: Episode Two'' http://www.computera[...] 2007-10-10
[37] 웹사이트 ''Half-Life 2: Episode Two'' Review http://uk.pc.ign.com[...] 2007-10-09
[38] 서적 Playing Dystopia: Nightmarish Worlds in Video Games and the Player's Aesthetic Response transcript 2018
[39] 서적 Videogames and Education Taylor & Francis
[40] 서적 Aliens in Popular Culture ABC-CLIO
[41] 웹사이트 Issue #62 http://www.hlcomic.c[...] 2005-10-07
[42] 웹사이트 ''Combine Nation: Episode One'' http://litfusefilms.[...] Lit Fuse Films
[43] 웹사이트 ''The Combine Episode 2: Workfilter'' https://www.youtube.[...] Currentpie Productions
[44] 웹사이트 The Combine Interview puts Tom Cruise in new light http://www.joystiq.c[...] Joystiq 2008-09-03
[45] 웹사이트 Creepy Tom Cruise Interview Redone As Creepy ''Half-Life 2'' Interview http://kotaku.com/50[...] Kotaku 2008-09-02
[46] 간행물 The Combine Tom Cruise Future plc 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